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Qi3u/btrV0hFBbC8/nqCJwK6gaUDGR8rmLFu4AK/img.png)
express 라이브러리 설치하기 1. 터미널에 npm init 입력해서 셋팅하기 npm은 라이브러리 설치를 도와주는 도구 npm init 엔터 쭉쭉 치다가 entry point에 server.js 작성 package.json 설치됨 : 내가 어떤 라이브러리 썼는지 바로바로 기록해주는 곳 2. 터미널에 npm install express 입력 npm install express package.js에 express 코드가 생성됨 (*라이브러리 설치할때마다 package.js에 생성되는것) node_modules 설치됨(라이브러리 관련된 파일 다 담겨있음)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dvIq/btrVCehSb4q/k43uJRopxYcotTjqAKIWn0/img.png)
null safety : 어떤 변수, 혹은 데이터가 null이 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(nullable) 위의 코드에서 kdb는 변수타입이 String 이므로 오직 string 값만 넣을 수 있음 + 기본적으로 모든 변수는 non-nullable(null이 될 수 없음) but null이 될 수 있는 값이 필요할 수도 있음 kdb가 null도 string도 될 수 있게 하기위해서는(=null safety) String 뒤에 물음표만 넣어주면 됨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OgAO/btrVZNdU8Si/vAVzYxkijWu9DzOJXKamc1/img.png)
서버 : 요청을 받으면 요청한 내용을 보내주는 프로그램 ex) 닭갈비식당에서 아르바이트생이 주문한 닭갈비 가져다줌 네이버한테 만화페이지 요청하면 네이버가 홈화면 가져다줌 사용자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4가지 방식 1.읽기(GET) : 뭔가 읽고 싶을 때 - 페이지 읽기 2.쓰기(POST) : 뭔가 생성하고 싶을 때 - 댓글작성, 블로그 작성 3.수정(PUT) : 뭔가 수정하고 싶을 때 4.삭제(DELETE) : 뭔가 삭제하고 싶을 때 ex) 서버만들때 코드 짜는 과정 어떤사람이 /list라는 페이지를 GET 요청하면 (=list 페이지 읽고싶어요) 거기해당하는 list.html 파일을 보내줌 * node.js에서 쌩코딩이 아니라 express 라는 라이브러리써서 서버만들음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YJu8/btrWw6DOujQ/e28lK4LqNh1PKnRnhOyyKk/img.png)
안에 옵션 넣으면 됨,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므로 과 비슷 모자 셔츠 Q. 그럼 왜 안 쓰고 씀? 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거라 자유로워서 이상한 거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없고 고르는 것만 가능 ✨ 안에 넣기 $('.form-select').eq(0).on('input',function(){ //input : 값 변경될때 이벤트 작동 if(this.value =='셔츠'){ //this == e.currentTarget, 현재 선택한 밸류가 셔츠면 $('.form-select').eq(1).removeClass('form-hide'); }else{$('.form-select').eq(1).addClass('form-hide');} }) 안에 대충 적은 코드는 페이지 로드 시 1회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