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원격저장소(git hub) 만들면? 1. 컴퓨터 고장나도 안심 2. 협업가능 1️⃣ git hub 에서 새로운 레파지토리 생성 후 git init 2️⃣ 메인 브랜치 이름 main 으로 변경 (기본값 master로 되어있음) git branch -M main 3️⃣ 로컬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옮기기 git push -u 깃허브 원격 저장소주소 로컬브랜치명 4️⃣ 저장소 주소 변수로 만들어서 push 하기 git remote add 원하는변수명 원격저장소주소 *저장소 주소가 너무 길어서 변수에 저장하는 것 5️⃣ 변수로 만든 저장소주소 push 하기 git push -u 변수명 로컬브랜치명(③과 같은과정) * git push 할때 -u 추가하면 주소 기억하라는 뜻, 한번 -u 쓰면 그뒤론 git push..

git branch : 파일(commit)의 복사본, 복사본에 코드짜보고 잘 실행 되면 원본파일에 적용 git branch 브랜치명 //브랜치 생성 git switch 브랜치명 //브랜치로 이동 git add . + 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 git switch main //메인 브랜치로 이동 git log --oneline --all --graph //그동안 커밋기록 보기 특정 브랜치 코드를 메인 브랜치와 합치기 git switch main //기준이 되는 메인 브랜치로 이동 git merge 브랜치명 //원하는 브랜치와 merge 협업 프로젝트시 1. 저장소 생성 : 깃허브에서 새로운 저장소(레파지토리)를 생성한다. 2. 로컬 저장소 복제 : 'git clone'으로 로컬에 레파지토리를 ..

git : 작업한 코드들 기록, 보관해주는 프로그램 staging area : 커밋하기 전에 커밋할 파일들 골라놓는 곳 repository : 커밋된 파일들 모아놓는 곳 1) git 설치 2) 작업 폴더 생성 후 shift + 오른쪽마우스 클릭 PowerShell 창열기 3) git 유저 이름 셋팅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홍길동@naver.com"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홍길동" 컴퓨터에서 git 처음 사용한다면 위 코드를 터미널에 차례대로 입력 4) 비주얼스튜디오에서 폴더 열고 터미널에 아래 코드 입력 git init //git이 추적 시작 git add 파일명 // "스테이징한다~" 라고도 함 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 g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