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var - scope(해당 값을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영역)이 함수단위, 함수 안에서 선언되었어도 함수 밖에서 쓸 수 있음
동일 변수명 사용 가능
let - 동적인 값을 담을 수 있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(재할당 가능), 동일 변수명 못씀
const - ES6 문법에서 새로 도입되었으며 한번 지정하고 나면 변경이 불가능(재할당 불가능), 동일 변수명 못씀
const, let은 scope이 함수 단위가 아닌 블록 단위로 함수 안에서 선언되었다면 함수 밖에서 쓸 수 없음
const, let은 같은 블록 내부에서 중복 선언 불가능
ES6 문법에서 var 사용할 일은 없음
let은 한번 선언한 후 값이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을 때만(예:for문, useState) 사용하고
const는 한번 설정한 후 변할 일이 없는 값에 사용
편하게 생각하면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하고, 해당 값을 바꾸어야 할 때는 let을 사용하면 됨
반응형
'Coding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Redux 3 : store의 state 변경함수 만들기 (0) | 2023.02.20 |
---|---|
DOM / Virtual DOM (0) | 2023.02.20 |
[React] Redux 2 : store에 state 보관하고 쓰는 법 (0) | 2023.02.18 |
[React] Redux 1 : Redux Toolkit 설치, store 생성 (0) | 2023.02.17 |
[React] 컴포넌트에 전환 애니메이션 주기(transition) (0) | 2023.02.15 |
댓글